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616)
모든 것은 자신에게서 나와 자신에게로 돌아간다. 사람의 인생은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 행복과 불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사람이 살아가면서 어찌 좋은 일만 있겠는가. 마음대로 되지 않는게 세상의 이치일터 육신보다는 마음을 행복하게 가져야한다. ​ 인생에서 권태는, 가장 나쁜 버릇 중에 하나다. 사랑도, 미움도, 정도 그 권태의 극복에서 희망과 용기와 삶의 깨달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 마음을 진정하고 진실하게 가져 내 마음의 우물을 맑게 하라. ​ 살아가면서 행복과 아름다움을 가꿀 줄 알고 늘 자신을 낮추어 살아가야 한다. ​ 세상에 완벽이라는 것이 없듯이 돈도 명예도 사랑도 정도 다 갖추어 살려고 하지마라. ​ 사람의 인생은 비어 있는 듯 살아야 행복을 가질 수 있고 따뜻한 삶을 품을 수 있다. ​ 욕심은 화를 부르고 미움은 시기를 낳..
흔히 노년(老年)은 상실 세대(喪失 世代)라 한다. 상실(喪失) 당하기 전에 버릴 것은 버려라. 그래서 우린 인생(人生)의 배낭을 가볍게 하자. 과거에 내가 000 자리에 있었는데, 그 때가 사람은 내 부하(部下)였는데.. 과거에 묶여있으면, 현실에 적응력(適應力)이 떨어진다. 인생의 종착역(終着驛)엔 1등실, 2등실이 따로 없다. 50代는 '인물의 평준화(平準化), ' 60代는 '직업의 평준화', 70代는 '건강의 평준화', 80代는 '생명의 평준화'라 하지 안 했는가? 잘나고 못나고 가 다 거기서 거기인 것이 삶의 끝이요, 생(生)의 종착(終着)이다. 품 안에서 벗어나고, 조직(組織)에서 벗어나고, 모든 구속(拘束)에서 벗어나고, 미움도 짐도 벗어 버리고, 원망(怨望)의 괴로움은 끊어버려 배낭을 가볍게 하여 불필요하고 과도한 탐욕(貪慾)이나 욕심(慾心..
노인(老人)의 모습에는 편안(便安)함이 있어야. 노인의 모습에는 편안함이 있어야 노년의 향기는 얼굴 모습에서 느껴지는 편안함입니다. 그것은 오래 살아본 삶에서 배어나는 향기입니다. 애써 걷어 들인 풍족함이 아니라, 인고로 견디어 온 초월함과 여유입니다. 삶의 성숙은 곧 오래된 향기로 남습니다. 인생의 향기는 노년에 완성됩니다. 죽음을 공포로 받아들일 때 노년은 괴롭고 쓸쓸하지만 죽음을 섭리로 받아들이고 삶을 감사하면 노년은 풍성한 결실이요, 은혜임을 압니다. 참다운 인생의 결실은 노년의 향기입니다. 성숙함은 다음 세대를 위한 희생입니다. 그리고 기다림입니다. 젊음의 상징이 아름다움이라면 노년의 상징은 원숙함입니다. 그것은 인생의 향기입니다. 모든 것을 포용하고 용서하며 내어줄 수 있는 것. 그것은 인류에 대한 사랑입니다. 늙어가는 모습에는 편안함이 있..
혼자 보기 아까운 교훈(敎訓)적인 글 혼자 보기 아까운 교훈적인 글 모든 괴로움은 어디서 오는가?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심에서 온다 모든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남을 먼저 생각하는 이타심에서 온다 혼자 있을 때는 자기 마음의 흐름을 살피고 여럿이 있을 때는 자기 입의 망을 살펴라 분노와 미움을 가지고는 싸움에서 이긴다 해도 승리가 아니다 그것은 죽은 사람을 상대로 싸움과 살인을 한 것과 같다 진정한 승리자는 자기 자신의 분노와 미움을 이겨낸 사람이다 자신은 예쁘게 만드는 사람은 세월이 가면 추해지지만 남을 예쁘게 보는 눈을 가진 사람은 세월이 가면 갈수록 빛나리... 용서는 단지 자기에게 상처를 준 사람을 받아들이는 것만이 아니다 그것은 그을 향한 미움과 원망의 마음에서 스스로 놓아주는 일이다 그러므로 용서는 자기 자신에게 베풂은 가장 큰 베..
"싸가지" ("사(四) 가지 ). "싸가지" ("사(四) 가지 ). 싹수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과연 "싸가지"란 무슨 뜻일까요?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이고, 서대문은 의(義)를 두텁게 갈고닦는 문이라고 돈의문(敦義門)이고,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이며, 북문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는 뜻으로 홍지문(弘智門)이라 합니다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信)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세웠다고 합니다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은 인간이 갖춰야 할 다섯 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보면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이고, 의(義)는 수오지심 (羞惡之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은 미워하는 마음이..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하는 10가지 이유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하는 10가지 이유 1. 사랑 결핍.. 사랑이 부족하다. 독신이나 가정 사정으로 인해 사랑받지 못하고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 결핍증에 걸리고 행복감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2. 행복의 조건.. 행복에 조건을 붙이기 때문이다. 미리 조건을 정해놓고 그 조건에 맞는 행복이 걸려들기만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3. 행복 미루기.. 행복을 미루기 때문이다. 지금보다 처지가 나아져 호의호식하게 되면 더없이 행복해질 거라며 행복을 무작정 미루기 때문에 현재의 행복이 없는 것이다. 4. 투정 부림.. 투정을 부리기 때문이다. 예쁜 옷이 없다고, 외식을 못한다고 복에 겨운 투정을 부리기 때문에, 없던 불행이 생겨나고 들어왔던 행복도 달아나는 것이다. 5. 돈 = 행복.. 돈이 곧 행..
행복(幸福)한 부자(富者 행복(幸福)한 부자(富者) 수천 년을 살아온 바위가 오늘날 신(神)에게 묻더라. "신께서 인간들을 보실 때 가장 신기(神氣) 한 것이 무엇인지요?" 신께서 미소(微笑)로 말씀하셨다. 첫째는, 어린 시절엔 어른 되기를 갈망(渴望)하고 어른이 되어서는 다시 어린 시절로 돌아가기를 갈망(渴望) 하는 것, 무지하게 웃긴다. 둘째는, 돈을 벌기 위해서 건강을 잃어버린 다음, 건강을 되찾기 위해서 돈을 모두 병원(病院) 약방(藥房)에 바치고 돈을 다 잃어버리는 것이더라. 셋째는, 미래(未來)를 염려하다가 현재(現在)를 놓쳐 버리고는 결국 미래도 현재도 둘 다 누리지 못하는 것이더라. 결론적으로 인간(人間)은 절대 죽지 않을 것처럼 살지만, 조금 살다가 살았던 적이 없었던 것처럼 죽는 것이 신기하더라. " 신(神)이..
법정스님의 인생 편지 '人生... 이렇게 살아라' 법정스님의 인생 편지 '人生... 이렇게 살아라' 인생 이렇게 살아라... 너무 좋아해도 괴롭고 너무 미워해도 괴롭다. 사실 우리가 알고 있고 겪고 있는 모든 괴로움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이 두 가지 분별에서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늙는 괴로움도 젊음을 좋아하는데서 오고 병의 괴로움도 건강을 좋아하는데서 오며 죽음 또한 삶을 좋아함 즉, 살고자 하는 집착에서 오고, 사랑의 아픔도 사람을 좋아하는 데서 오고 가난의 괴로움도 부유함을 좋아하는데서 오고, 이렇듯 모든 괴로움은 좋고 싫은 두 가지 분별로 인해 온다. 좋고 싫은 것만 없다면 괴로울 것도 없고, 마음은 고요한 평화에 이른다. 그렇다고 사랑하지도 말고 미워하지도 말고 그냥 돌처럼 무감각하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사랑을 하되 집착이 없어야 하고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