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민족적인 인간 및 행위

"아직도 전두환 기념물이 국민세금으로 유지-관리되다니"

"아직도 전두환 기념물이 국민세금으로 유지-관리되다니"

입력2025.06.21. 오후 5:47 
 
수정2025.06.21. 오후 7:26
 기사원문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광주시민단체협의회-5.18기념재단, 21일 합천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기사보강 : 6월 21일 오후 7시]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아무리 전두환 출생지라 하지만 아직도 그의 아호를 딴 '일해공원'의 이름이 바뀌지 않고, 나무를 심은 표지석에다 생가까지 있다. 더군다나 국민 세금으로 유지·관리되고 있다고 하니 놀랍다. 아직도 우리 사회가 역사적으로 정리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생각이 든다."

21일 경남 합천을 찾은 이운기 광주시민단체협의회 5·18특별위원장이 한 말이다. 이 위원장은 광주지역 시민사회 인사 20여명과 함께 합천을 방문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이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를 내걸고 합천을 찾은 것이다.

합천 출신 전두환(1931~2021)은 12·12군사반란, 5.18광주항쟁의 유혈진압, 반란 수괴 등으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고, 전직대통령예우에관한법률에 따라 전직 대통령의 예우가 박탈되었다.

합천에 있는 전두환 관련 기념물은 모두 3개다. 합천군청 뜰에 있는 기념식수 표지석, 새천년생명의숲에서 그의 아호를 따서 붙인 일해공원, 그리고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 있는 생가다.

기념식수 표지석은 전두환씨가 1980년 9월 5일 합천군청을 방문해 심었던 나무 앞에 '전두환 대통령 기념식수'라고 새겨져 있다. 생명의숲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가 2024년 12월 광주시민들과 함께 표지석을 뽑아 냈다가 이후 돌려주었고, 합천군은 다시 설치를 했다.

옛 새천년생명의숲은 합천군이 2004년 경남도비를 포함해 예산 68억원을 들여 조성했고, 2007년에 '일해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생가는 합천군 소유로 관리가 되고 있으며, 그 앞에는 '전두환 대통령 생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일해공원'을 버리고 '생명의숲'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하는 주민들이 '생명의숲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를 결성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합천군민운동본부는 2024년 11~12월 사이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 운동을 벌여, 관련 규정(5만명)보다 두 배가 넘는 10만 5685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제출했다.

이 국민청원은 '일해공원 명칭 변경'에다 '기념사업·기념물 금지 법률 제정'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국회는 관련 국민청원을 접수했다가 올해 말까지 처리를 연기했다.

합천군민운동본부는 국민청원 서명운동 뿐만 아니라 단식농성을 벌이기도 하고, 수시로 광주를 찾아 관련 선전 활동을 해 왔다. 이들은 지난 5·18 기념식 때 광주에서 펼침막을 들고 홍보 활동도 벌였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우리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자"

이에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이 합천을 찾아 합천군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실상을 파악하는 활동을 벌인 것이다. 이들은 "여전히 전두환이 자랑스러운 사람들과 지방자치단체가 있다. 그 현장을 방문하여 우리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자"라고 하며 나섰다.

이들은 차례로 일해공원, 합천군청 앞마당, 생가를 찾았다. 공원을 찾은 이들은 "국민이 나섰다. 국회는 응답하라. 일해공원 폐지법안 지금 당장 발의하라"라고 쓴 펼침막으로, '일해공원'이란 표지석의 글자를 덮어버렸다.

합천군청 뜰에 있는 기념식수 표지석을 찾은 이들은 그 앞에 "12.12 군사반란, 5.18민주화운동 유혈진압, 반란수괴, 내란목적 살인 전두환. 대법원 96도 3376. 1997년 4월 17일 판결 선고. 유죄 인정, 무기징역 확정"이라고 쓴 종이를 놓아두었다.

또 생가를 찾은 이들은 안내판에 같은 내용을 적은 종이를 붙여 놓았다. 이들은 생가 앞에 "전두환 생가 유지관리에 세금이 쓰이다니. 안내판 설명은 왜 이래요? 주장이 사실을 바꿀 수 없습니다"라고 쓴 펼침막을 걸어 놓았다.

그러면서 이들은 천주교 합천교회를 찾아 합천군민운동본부와 함께 하면서 "광주 사람들이 합천 동지들에게. 외롭지 않게 광주가 함께 하겠습니다. 힘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쓴 펼침막을 들고 같이 했다.

최기영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사무처장은 "일해공원, 기념식수 표지석, 생가와 관련한 이야기를 언론 보도로만 보고 알고 있었다. 뜻있는 합천군민들이 문제제기를 해서 여러 활동을 하고 있는 말씀을 들었는데 더 관심이 필요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

최 변호사는 "이는 합천만의 문제가 아니다. 5.18 역사왜곡이고, 역사왜곡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걸 의미하며, 지금 뿐만 아니라 미래의 문제이기도 하다"라며 "합천,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민이 관심을 가져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청원이 성사되었다. 국회가 관련 법률 개정을 해야 할 것이다. 국회의원들을 설득해 나가야 한다"라고 했다.

이운기 광주시민단체협의회 5.18특별위원장은 "합천군민운동본부가 10년 넘게 오랜 기간 동안 일해공원 명칭을 없애고, 역사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싸워왔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제사 방문을 하게 되어 한 편으로는 감사하고 송구하다"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공원, 생가, 기념식수를 둘러봤다. 합천군이 생각보다 훨씬 더 전두환의 행적을 미화해 놓았으며, 더군다나 국민 세금으로 관리·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랍다. 우리 사회가 정리해야 할 역사적 과제가 많다는 생각도 든다"라고 했다.

그는 "합천군민운동본부와 광주시민사회가 함께 연대해서 관련된 여러 활동을 벌여나갈 것"이라며 "우선 국회에서 법률 개정부터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에서 연대 본격화하도록 나설 것"이라고 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5.18기념재단 관계자가 21일 합천군청을 찾아 담당자한테 전두환 대법원 판결문을 전달했다.
ⓒ 5.18기념재단

"합천군수, 군의회 의장 면담 요청했으나 거절"

최경훈 5.18기념재단 역사왜곡대응팀장은 "전두환은 전직대통령예우에관한법률에 의해 기념사업의 대상이 아니기에 지금처럼 전두환 생가 등 기념시설은 세금으로 운영되어선 안 된다. 정부는 전국의 관련 기념시설을 조사하고 철거할 책임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들은 이날 합천군수와 합천군의회 의장 면담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박진우 5.18기념재단 기록진실부장은 합천군 담당자한테 전두환 대법원 판결문을 전달했다. 재단은 "이는 역사를 바로 알고 행정을 펼쳐달라는 의미다"라고 했다.

고동의 합천군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은 "군청과 군의회에 2주 전에 공문을 보내 면담 요청했으나 거절을 당했다"라며 "군수는 아무런 사유도 없이 거절했고, 군의회 의장은 연락이 되지 않았다. 군청과 군의회 앞에는 공무원과 경찰만 잔뜩 있었다"라고 말했다.

고 집행위원장은 "오늘 비가 쏟아지는데도 멀리 광주에서 시민단체 대표들이 와서 고맙고 힘이 난다. 전두환 잔재 청산이 합천 뿐만 아니라 광주를 넘어 전국적인 문제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개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께 관련 활동을 벌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과거 부산 해운대구청과 제주도청 앞 공원에 있던 전두환 관련 표지석은 철거되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참가자들으 일해공원 표지석을 향해 손가락질 하고 있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전두환 생가 안내판에 붙인 종이.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은 6월 21일 경남 합천을 찾아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활동을 벌였다.
ⓒ 5.18기념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