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스크랩] 561돌 한글날 맞이 ox 퀴즈

 

 561돌 한글날 맞이 OX 퀴즈입니다. 한 번 자신의 한글 상식을 테스트해 보세요~

 

 

 

 

 

<OX 퀴즈>

◎ 훈민정음은 <훈민정음해례본>, 그리고 <훈민정음예의본>의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O)


◎ 훈민정음은 국보 18호이다. (X:국보70호, 국보18호는 부석사무량수전)


◎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악학궤범>이다. (X:용비어천가)


◎ 세종때 세워진 것으로 불교서적의 언해와 <훈민정음>등의 서적을 편찬한 곳은 ‘언문청’이다. (O)


◎ 세종때 설치되어 수많은 학자들을 배출한 ‘집현전’은 연산군 때 폐지되었다. (X:세조)


◎ 세종26년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집현전 부제학은 성삼문이다. (X:최만리)


◎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번역문학서는 <두시언해>이다. (O)


◎ 중세국어에서 ‘어린’은 ‘어리석은’이라는 뜻이다. (O)


◎ 중세국어에서 ‘어엿비’는 ‘어여쁘게’라는 뜻이다. (X:가련하게, 불쌍하게)


◎ 1883년에 정부에 의해 창간된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은 <독립신문>이다.  (X:한성순보, 독립신문은 최초의 한글 전용 신문이다.)


◎ 국권침탈 이전 민족진영의 대변자였던 <대한매일신보>는 발행인이 영국인이었다 (O)


◎ 조선후기의 국문학자인 지석영선생은 국문학자인 동시에 의사이기도 했다. (O)


◎ 우리글을 국문(國文), 우리말을 국어(國語)라고 부르게 된 것은 동학농민운동부터이다 (X:갑오개혁)


◎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펴낸 곳은 <국문연구소>이다. (X:조선어학회)


◎ 임경재, 최두선, 이규방, 권덕규, 장지영은 언문청의 후신인 정음청 소속으로 한글서적의 편찬에 힘썼다. (X:이들은 조선어학회 소속으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편찬했다)


◎ 현 한글맞춤법은 1988년에 제정된 것이다. (O)


◎ 훈민정음 창제는 1413년이다. (X:1443년)


◎ 한글 자모의 수는 25자이다. (X:자음과 모음을 포함하여 24자이다.)


◎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자모의 총 개수는 32자였다. (X:28자였다)


◎ 우리나라는 ‘훈민정음 반포일’을, 북한은 ‘훈민정음 창제일’을 한글날로 기념하고 있다. (O)


◎ 한글날 노래의 작사가는 주시경 선생이다 (X:최현배)


◎ ‘어머니는 시집올 때 바늘 한 쌈을 가져오셨다’에서 ‘쌈’은 바늘묶음을 세는 단위이다. 여기서 ‘한 쌈’은 바늘 열 두 개를 말한다. (X:스물 네 개)


◎ ‘김장을 하려고 배추 한 접을 샀다’에서 ‘한 접’은 100개를 말한다. (O)


◎ ‘굴 요리가 아주 맛있다’의 먹는 굴과 ‘굴을 파 놓았다’의 동굴 굴 중에서 전자를 짧게 발음하고 후자를 길게 발음한다. (O)


◎ ‘한눈에 반하다’ ‘한눈팔다’의 '한'은 둘 다 길게 발음한다. (X:전자는 짧게 후자는 길게)


◎ ‘어슴푸레’는 표준어이다. (O) *별지 참조


◎ 고유어인 ‘허발하다’는 ‘남의 눈치를 보며 슬금슬금 도망치다’라는 뜻이다. (X:몹시 굶주려 있거나 궁하여 체면없이 함부로 먹거나 덤빔)


◎ 고유어인 ‘본치’는 ‘남의 눈에 띄는 태도나 겉모양’을 말한다. (O)


◎ '하늬바람'은 북쪽에서 부는 바람을 말한다. (X:서쪽에서 부는 바람)


◎ '여우볕'이란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해가 났다가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O)


◎ '너울가지'란 '축축 늘어지는 가지'를 말한다. (X:남과 잘 사귀는 솜씨)


◎ 음식을 부르는 명칭은 '아나고'라는 말은 우리말로 순화하면 '미꾸라지'이다. (X:붕장어)


◎ 북한말의 '더부치'는 우리말로 '호주머니'를 말한다. (O)


◎ 부산의 로마자 표기법은 ‘Pusan’이다. (X:Busan이 맞다, 2000년 개정된 외래어 표기법. 국제영화제등에서의 Pusan표기는 국제적으로 알려져 굳어진 명칭을 바꾸지 않는 것 뿐.)


◎ 다음 중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O:베갯닛 X:베갯잇 (X) 


◎ 다음 중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O:족찝께 X:쪽찝게 (O)

■ 이 사람은 개화기의 국어학자로, 한글의 전문적 이론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써 한글의 대중화와 근대화에 기여하였다. 우리말의 문법을 최초로 정립한 이 사람은 누구인가? (주시경)


■ 지난주 각종 포털사이트의 뉴스 란에는 이 사람의 한글편지가 공개되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원손 시절에 외숙모에게 보낸 편지가 공개된 이 사람은 누구인가? (정조)


■ <월인석보>는 태헌왕후 심씨가 죽자 세종의 명으로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편찬한 ‘A’와 이것을 읽고 세종이 각각 두 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은 ‘B’를 합하여 편찬한 것이다. A와 B는 무엇인가? (A:석보상절, B:월인천강지곡)


■ 중국의 운에 관한 책인 <홍무정운>과 대비하여, 조선 세종 때 신숙주, 최항, 박팽년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은 무엇인가? (동국정운)


■ 1989년부터 유네스코에서 제정하여 문맹퇴치 공로상으로 수여하고 있는 상의 명칭은 무엇인가? (세종대왕상)


■ 훈민정음을 한자로 쓰시오. (訓民正音)


■ 한글날은 1926년 조선어연구회에 의해 처음 제정될 당시 ‘OOO’이라는 이름이었다. (가갸날)


■ 2007년도 한글날은 몇 회째인가? (561회)


■ '백령도'를 최근 외래어표기법에 맞추어 로마자 표기하시오. (Baengnyeongdo:음운규칙적용)

 

출처 : 인문학 연습실
글쓴이 : 열심히살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