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민족적인 인간 및 행위

태극기부대 끌어안는 김종인 비대위원장 행보, 왜?

[경향신문]
“대권 도전 염두 둔 정치행보” 주장에 “당 교란용 마타도어” 반박

“부디 여러분이 집회를 미루고 국민과 함께하길 두 손 모아 부탁한다.”

9월 10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김종인 위원장의 발언이다. 여기서 ‘여러분’은 10월 3일 개천절 문재인 대통령 탄핵집회를 추진하는 강경 보수세력, 이른바 태극기부대를 겨냥한 말이다. ‘두 손 모아 부탁한다’는 것은 충심을 이해하니 간청한다는 뜻이다.

끌어안는 모양새다.

그는 이날 회의에서 “스페인독감이 창궐하던 시기에 3·1 만세운동에 나서던 선조들이 생각난다”며 정치하는 입장에서 죄송하다고도 언급했다.

10·3 개천절 집회에 나서는 일부 강경 보수세력을 독립운동에 비유한 것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9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 이준헌 기자

김 위원장이 당 비상대책위원장에 취임한 것은 5월 27일.

9월 3일이 취임 100일이었다. 9월 3일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강경 보수세력들과의 관계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국민의힘은 국민 모두를 아울러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어떤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 우리와 생각을 좀 달리하는 분들도 흡수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면 자연적으로 영역이 확대될 것”이라고 답했다.

과거 “집회가 야당하고 무슨 상관이 있느냐”(8월 18일), “그런 사람들(집회참석자들)은 상대할 필요가 없다. 무시하면 된다”(8월 27일)와 같은 발언과는 사뭇 다른 뉘앙스다.

■ 달라진 김 위원장 발언의 뉘앙스
기자는 지난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취임의 컨벤션 효과가 왜 보이지 않을까를 짚는 기사를 썼다.

‘컨벤션 효과’가 미비한 것은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미래통합당이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바꾼 것은 비대위원장 취임 100일 전날인 9월 2일이었다.

TBS와 리얼미터의 9월 첫째 주 정당지지율 조사 집계표를 보면 국민의힘은 31.9%로 전 주인 8월 넷째 주 지지도(30.1%)에 비해 1.8%포인트 늘어났을 뿐이다.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가 ±2.5%이므로 오차범위 내의 변동이다. 역시 같은 방송사와 함께 치러진 리얼미터의 9월 둘째 주(7~9일) 조사에서도 다시 1.8%포인트 늘어 32.8%를 기록했다.

9월 둘째 주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집권당인 민주당 지지율의 눈에 띄는 하락이다. 전 주(37.8%)에서 33.7%로, 4.1%포인트가 하락했다. 국민의힘과 오차범위 내에서 붙었다(전체 조사결과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즉 당명을 바꾼 컨벤션 효과가 나타난 것이 아니라 집권당에 대한 지지층의 이탈이 두드러진 것이다.

정치공학적으로만 계산한다면 김 위원장의 발언은 집권당에서 이탈해 중도로 갈 사람들을 겨냥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반대다. 왜일까.

“간단한 것 아닌가. 노욕이다. 우리끼리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김종인 위원장이 5·18 묘역에 가서 왜 무릎을 꿇었겠는가. 자기가 대선에 나오고 싶으니까.”

과거 핵심당직자를 맡았던 인사의 독설이다. 그는 “이 당의 문제는 지난 총선에서 역대 최악의 패배를 기록해놓고 패배원인에 대한 제대로 된 진단도 없고,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은 채로 당명 바꾸고 신장개업하는 식으로 흘러왔다는 것”이라며 “정치적 지지율도 자기 당의 내부혁신이나 국민의 지지 없이 다른 당의 잘못으로 반대급부로 올라는 것은 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가 말하는 내부혁신의 상은 과감한 정당개혁과 결과, 구체적인 총선패배에 대한 책임이다.

“지난 총선에서 그나마 된 사람은 영남하고 강남 아닌가. 거기에 김종인만 얹은 것이다. 어떻게 보면 우리 당은 영남기득권에 얼굴마담만 교체해 반사이익을 얻어 그대로 가는 식이다. 구악(舊惡)들이 신악을 탓하며 ‘이때다’ 하고 뭉쳐가는 것이다. 한두 번이어야지 국민도 이제는 안 속을 것이다.” ‘객토’ 수준의 변화 없이는 몰락의 길로 가는 건 불가피하다는 게 이 인사의 진단이다.

광주 서구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는 페이스북에 “혹시 당 이름을 바꾸면 원래 유권자들이 원래 정당이 어디였는지 잊어먹을 것이라고 기대하는가”라고 반문하며 자신의 선거경험을 거론했다.

“선거 때 유권자를 만나면 여러 번 바뀐 당 이름을 기억 못 하고 ‘아, 황교안 당?’ 하고 되묻는 분이 많았다. 아마 지금도 국민의힘이라는 당 정체성을 가장 잘 인식시키는 워딩은 ‘아, 그 김종인 당?’일 것이다. 이래서는 이길 수 없다.”

■ 리더십 부재의 대안? “김종인밖에 없다”
주 대표와 통화했다.

“당 이름을 영어로 표기하면 People Power Party(PPP)라고 하는데 누가 우스갯소리로 ‘인민권력당’이라고 하더라. 국민의힘이라는 당명에서 국민이라고 했다고 좌파적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이름도 그렇지만 자기 정체성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경제민주화가 김종인 위원장이 대표적으로 내세우는 정치적 자산인데, 거의 관심을 끌지 못했지만 지난 총선 때 나는 경제민주화 조항을 폐지하는 운동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제민주화는 엄밀히 말하면 경제의 정치화다. 정치는 민주화가 시대적 대의지만, 경제는 자유화가 맞다. 경제민주화라는 레토릭 위에서 정부개입과 규제강화, 큰 정부로 가는 길이 열린다. 결국 경제민주화는 좌파에게 어드밴티지를 주는 정책이라고 본다.”

주 대표도 앞서 전 당직자와 마찬가지로 결국 김종인 위원장의 최근 행보는 정치적 사심이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야권보다 앞서 냈다는 기본소득이라는 의제도 마찬가지다. 과연 전 세계적으로 기본소득을 내걸어 성공한 정치세력이 있는가. 다 포기하고 실패로 결론 난 정책이다. 다른 나라에서 다 실패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려면 그런 설명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것 역시 없다.”

“김 위원장이 ‘앞으로는 보수·진보와 같은 말도 쓰지 말자’고 말했지만 보수의 강점은 유연함이나 실사구시다. 사실 국민의힘이라는 정당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우파정체성이 있는지도 의심스럽다.”

김장수 제3시대연구소 소장의 말이다. 미국에서 선거제도연구로 정치학박사를 받은 그는 컨벤션 효과도 당대표 선출 같은 데서는 언급할 수 있지만 “당명 변경에서 그러한 현상이 안 나타나는 일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컨벤션 효과라는 말 자체가 미국 정치 현상을 분석하면서 나온 개념이다. 그런데 미국은 한국과 다르다. 민주당과 공화당이라는 양대 세력의 지배구조가 완결된 나라다. 우리나라처럼 뭣하면 당명을 변경해온 나라가 아니다.”

당명까지 바꿨지만 지지율이 안 오르는 이유는 차기를 담당할 리더십의 부재 때문이라는 것이 김 소장의 설명이다.

“한국의 선거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진보나 보수와 같은 진영이 아니라 결국 중도를 누가 차지하냐의 게임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국민의힘에서 현재까지 의미 있는 주자는 김종인이 될 수밖에 없다. 나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중요한 자리를 맡았을 때 얼마나 내공을 보여줄 수 있느냐는 점이다.”

그럴까. 현재까지 김 위원장의 발언은 “대권 도전에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9월 3일 비대위원장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연대 가능성을 묻는 말에 “자연스럽게 우리 당 내부에서 후보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저는 확신한다”고 말했다.

9월 10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는 자신의 대권 도전설과 관련 “국민의힘을 교란하기 위한 소리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앞으로 어떻게 더 구체화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